펠로폰네소스 전쟁(BC431-404 )

반응형

기원전 431년부터 404년까지 지속된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아테네와 스파르타의 도시 국가와 동맹국 사이의 장기간에 걸친 분쟁이었습니다. 전쟁의 기원은 정치적, 군사적, 경제적 요인이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혀있습니다. 그 역사적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I. 전쟁의 발단

페리클레스가 이끄는 아테네는 강력한 해군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Delian League로 알려진 그 제국은 페르시아의 침략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 아테네에 공물을 바친 수많은 도시 국가로 구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테네는 동맹을 이용하여 아테네 제국으로 탈바꿈하기 시작했고 아테네의 힘과 영향력은 펠로폰네소스 지역의 도시 국가 연합인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지도자였던 스파르타에게 걱정을 끼쳤습니다.

 

군사력이 강했던 스파르타는 아테네의 팽창주의가 자신들의 이익을 위협하고 잠재적으로 그리스의 미묘한 힘의 균형을 깨뜨릴 것을 두려워했습니다. 그러던 중  아테네와 그 동맹국 중 하나인 도시 국가 코린트 사이의 분쟁이 원인이 되어 전쟁이 발발합니다. 해양 강국이자 아테네의 라이벌인 코린트는 두 식민지 국가 간의 분쟁에 개입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아테네는 패권을 주장하며 코린트의 적수 편을 들었습니다.  코린트가 자신들의 영향권 안에 있다고 인식한 문제에 대한 아테네의 이러한 개입은 두 세력 사이의 긴장을 고조시켰습니다.

 

다른 펠로폰네소스 국가의 지원을 받는 코린트는 아테네에 맞서기 위해  스파르타에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아테네의 성장세력과 코린트의 자치권 침해를 우려한 스파르타는 행동을 취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고조되는 긴장감을 더하는 것은 양측 모두에 근본적인 불만이 존재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아테네는 스파르타의 보수적이고 군국주의적인 사회에 분개했고, 스파르타는 아테네의 민주주의 체제와 델로스 동맹에 대한 통제에 분개했습니다. 이러한 대조적인 이데올로기와 정치 체제는 불을 지폈고 타협을 점점 더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II. 전쟁의 시작

기원전 431년 마침내 전쟁이 발발했습니다.  직접적인 원인은 아테네와 동맹을 맺은 코린트 식민지 포티데아에서 일어난 사건이었습니다. 포티데아는 아테네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아테네가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움직였을 때 스파르타와 그 동맹국들은 아테네의 움직임을 침략 행위로 여겼습니다.

 

아테네의 지배를 두려워한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을 모아 아테네 주변 지역인 아티카로 침공을 시작했습니다. 이 침략은 아테네의 식량자원을 공격하면서 아테네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아테네 인들은 이 전략을 예상했고 시골 주민들을 요새화된 도시 아테네로 대피시켰습니다. 아테네는 식민지와 동맹국으로부터 물자를 수송하고 바다를 통제하는 데 사용했던 그들의 해군에 의존했습니다.  아티카의 침공으로 양측은 서로에게 피해를 주고 전력을 약화시키려고 했기 때문에 모두에게 큰 피해를  초래했습니다. 하지만, 해군과 도시의 방어 요새에 의존하는 아테네의 전략은 초기의 공격을 견딜 수 있게 해 주었고 전쟁이 진행되는 동안  공성전, 해전으로 확대되었습니다.

 

강력한 해군덕에 아테네는 에게해의 여러 지역으로 원정을 할 수 있었고, 그들의 영향력과 통제력을 확장했습니다. 그러나 스파르타는 우세한 지상군으로 기원전 431년 아테네를 포위하는데 성공했고, 아테네 인들을 굶겨 굴복시키려고 했습니다. 아테네의 포위는 몇 년 동안 지속되었고, 그동안 도시 성벽 안에서 심각한 전염병이 발생하여 영향력 있는 지도자 페리클레스를 포함한 사람들이 죽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테네는 보급선과 해군의 보호로 버텨냅니다.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양측은 다른 그리스 도시 국가들과 외부 세력들로부터 동맹과 지원을 받습니다. 아테네는 이전의 적국인 페르시아에게 도움을 청했고, 스파르타는 펠로폰네소스 동맹과 페르시아 제국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전쟁은 수십 년 동안 질질 끌었고, 어느 쪽도 결정적인 타격을 주지 못했습니다. 결국, 아테네는 기원전 405년에 아이고스포타미 전투에서 스파르타 함대에 패배하면서 큰 좌절을 겪었습니다. 해군의 패권이 깨지면서 아테네는 취약해졌고, 이듬해인 기원전 404년 스파르타에 항복했습니다.

 

III. 전쟁의 의미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아테네의 제국주의 야망의 종말을 의미했고 강대국으로서 스파르타의 부상을 이끌었습니다. 이 분쟁은 또한 많은 그리스 도시 국가들을 약화시켜 외부의 침략에 취약하게 만들었습니다. 이 전쟁은 알렉산더 대왕의 지도하에 마케도니아에 의한 그리스 정복의 발판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